티스토리 뷰
환급금이 발생하는 이유는 내가 낸 세금이 실제로 납부할 세액보다 많은경우 그 차액만큼 돌려받는건데요.
작년 이맘때 국세청에서는 대대적으로 미수령 환급금 1434억을 찾아가라는 홍보를 했습니다.
국세청에서는 부가가치세나 종합소득세, 근로장려금 등의 환급금이 1400억이 이른다고 얘기했는데요.
일반적으로 환급금이 발생하게 되면 세무서에서 우편으로 통보를 하지만 주소지가 잘못되었거나 중간에 우편물이 분실될수도 있어 인터넷을 통해 직접 확인해보는게 가장 정확합니다.
│ 발생후 5년이 지나면 국고로 환수
│ 세무서에 직접 방문할 필요없이 인터넷 또는 모바일 어플에서 조회가능
오늘은 미수령 환급금 조회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조회방법은 크게 PC에서 조회하는 2가지 방법과 모바일앱에서 조회하는 방법 총 3가지를 설명드릴게요.
그리고 홈택스나 정부24(과거 민원24)에서 공인인증서 및 주민등록등본 발급방법을 추가로 안내드립니다.
1. PC에서 조회방법
PC라면 인터넷 검색창에 홈텍스를 검색하시거나 아래 바로가기를 통해서 접속해주시면 됩니다.
일단 접속하기전에 간단하게라도 조회방법을 읽어보고 가시는게 좋겠죠?
국세청홈페이지 (홈텍스 바로가기)
홈택스에 접속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요.
여기에서 우측 상단의 검색버튼을 누르시면 검색할수 있는 화면이 생깁니다.
거기에 "환급금조회"를 입력하신 후 통합검색을 눌러주세요!
통합검색을 하면 총 1,385건이나 나오지만 그중에 우리가 확인하려고 하는건 제일 위에 메뉴안내(5건)에 보면
국세청홈텍스 -> 조회/발급 -> 기타조회 -> 환급금 상세조회 메뉴가 있습니다.
이걸 눌러주세요.
PC버전에서 조회시 공동, 금융인증서 혹은 간편인증, 아이디 로그인, 비회원 로그인등 메뉴가 있습니다.
만약 아이디가 있으시면 로그인을 하시면 됩니다.
저는 아이디가 없어서 비회원 로그인으로 진행해볼께요!
(비회원으로 해도 서비스를 이용하는데는 제한이 없습니다)
비회원로그인을 누르니 이름과 주민번호를 입력한뒤 공동, 금융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을 해야하는데요.
PC에 공인인증서가 있으면 그거로 로그인 하시면 되고 없으시다면
카카오톡이나 페이코, 삼성패스, 국민은행인증등 간편인증을 통해서 로그인하시면됩니다.
저는 공동인증서가 있어서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했더니 아래와 같이 화면이 나옵니다.
조회기간은 최대 5년까지 조회가 되는데 저는 2018년도부터 조회해봤습니다.
그 결과는... 조회된 내역이 없습니다 ㅠㅠ
그래 이게 좋은거겠죠??
못받을거 없이 다 받았으니까....?
환급금 미수령건이 발생하면 국세환급금통지서를 지참하여 우체국에 방문하시면 수령이 가능하고 국세환급금통지서를 분실시 관할세무서에서 재발급가능합니다.
계좌지급을 원하시는 경우 환급계좌개설(변경)신고를 선택하여 환급계좌를 개설(변경)하시기 바랍니다.
환급금은 세무서에서 환급 관련 업무처리 후 조회가 됩니다.
받으실 환급금이 있는데 조회가 되지 않는 경우는 관할 세무서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2. 삼쩜삼에서 조회
두번째 방법은 삼쩜삼이라는 사이트를 이용해서 환급금을 조회하는거예요.
저는 이번에 처음 사용해봤는데 정말 편리했습니다.
삼쩜삼은 어떤 사이트인가요?
저는 자비스가 뭔지도 모르고..
왠지 국가에서 운영하는게 아니다보니 혹시나 개인정보 유출이나 다른 문제가 생길까 걱정부터 앞서긴 하는데.
그래도 많은분들이 이용하는거 같아서 저도 한번 사용해봤어요.
먼저 삼쩜삼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텐요.
처음에 저는 휴대폰번호만 입력하면 되는줄 알고
"뭐야 왜이렇게 간단하지?" 하고 입력해봤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홈택스 아이디랑 비밀번호로 로그인을 해야되더라고요.
이럴꺼면 그냥 홈텍스에서 조회할껄..
근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홈택스에서는 환급금이 0원이였는데 여기서는 만몇천원이 나오더라고요.
어디서 튀어난온거냐 내환급금..
저는 홈택스 아이디가 있어서 로그인해봤습니다.
그랬더니 짜잔~~ 떼인 세금이 11,220원이라고 나오네요?
아 이거 뭐지? 왠지 꽁돈 생긴 기분인데~~
그래서 기분좋게 떼인세금 지금 환급받으러가기 눌러봤어요!
아... 회원가입하라고 나옵니다..
홈택스 로그인하고 조회했더니 회원가입까지?
그래도 카톡으로 간단하게 가입되니까 가입해봤어요.
잉 회원가입했더니 이번엔 주민번호 뒷자리도 쓰라고하네요?
찜찜... 그래도 믿을만한 사이트라니까 입력했어요
삼쩜삼을 통한 환급일정은
기한 후 신고는 관할 세무서의 확인 후 확정되어 환급에 2주~3개월의 시간이 소요된다고 합니다.
소액인 경우 3달까진 안걸리겠죠..
수수료도 있다고 합니다.
수수료는 떼인세금 기한후 신고 진행시 서비스 이용수수료이며 수수료 결제이후 환급 세액이 없을경우에는 수수료는 환불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수수료는 최종 환급액이 아닌 3.3% 사업소득의 총수입금액에 따라 책정된다고 합니다.
세금 환급은 수수료 결제시 입력한 계좌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저는 그냥 귀찮아서 안받으려고요...
이제 정보는 알아봤으니 탈퇴하려고 하는데 탈퇴하는 화면이 안보이네요 ??
그래서 가져왔습니다.
삼쩜삼 회원탈퇴 URL 바로가기
https://app.3o3.co.kr/login?rurl=%2Fsupport%2Fsign-out
http://www.3o3.co.kr/
잘 몰라서 떼인 돈 3.3%, 삼쩜삼에서 무료로 확인하고 간편하게 돌려받으세요.
www.3o3.co.kr
위 사이트 접속하시면 바로 탈퇴처리 가능합니다.
찾는건 번거롭게 해놨지만 탈퇴과정은 정말 편리하게 해줘서 좋았어요 ㅋㅋㅋ
3. 모바일 손택스
요즘은 대부분 PC보다 모바일로 인터넷이나 업무를 보는데요.
떼인세금 조회도 손택스 앱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 혹은 아이폰앱스토어에서 손택스를 검색해주세요.
그럼 아래처럼 국세청 홈택스[손택스]가 나옵니다.
어플을 설치하고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인데요.
검색창에 환급금조회를 입력해주세요.
그럼 PC에서 조회했던것처럼 메뉴에서 선택할수 있습니다.
모바일 앱에서는 본인인증이 필요합니다.
비회원로그인도 가능하지만 PC에서처럼 간편인증은 아직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등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네 PC에서 처럼 환급금은 없다고 나오네요.
4. 기타 서비스
홈택스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정말 많이 언급한게 공동인증서(공인인증서, 금융인증서)인데요.
아래 이용방법을 보고 미리미리 설치해두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때 시간을 절약할수있습니다.
2021.03.17 - [분류 전체보기] - 공인인증서 발급방법 (금융인증서로 변경) 차근차근 따라하기
공인인증서 발급방법 (금융인증서로 변경) 차근차근 따라하기
20년12월부터 공인인증서 제도가 폐지되면서 공동인증서로 명칭이 바뀌었는데요. 지금은 공동인증서 뿐만 아니라 금융인증서, 그밖에 간편한 페이인증서등 다양한 본인인증 방법을 사용할수 있
mmc6u.tistory.com
2021.03.25 - [분류 전체보기] - 새로 바뀐 주민등록 등본 인터넷 발급방법
새로 바뀐 주민등록 등본 인터넷 발급방법
작년 공인인증서가 폐지되면서 각종 정부사이트에서도 인증방법이 변경되었습니다. 그중에서도 주민등록 등본이나 초본을 발급받는 정부24가 새롭게 개편되었는데요. 컴퓨터에 익숙치 않은분
mmc6u.tistory.com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혹시 떼인세금이나 미환급금이 있는경우 꼭 돌려받으시길 바랍니다.
그럼 모두들 즐겁고 행복한 하루보내세요